백내장수술소요시간 걱정은 줄이고
눈의 노화가 유발하는 질환 가운데 백내장은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죠. 단일 질환으로는 매년 높은 외과적 치료수를 기록하고 있고, 국내 3대 실명 질환으로 꼽히기 때문에 의심스러운 증상이 있을 때는 반드시 내원을 통해서 정밀 진단을 먼저 받는 것이 바람직한데요. 문제는 백내장의 발견이 늦을 때가 많다는 점입니다. 초기 증상과 발생 시기가 노안과 유사하고, 처음에는 시력 저하 외에 별다른 증상이 동반되지 않아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증상이라고 여기는 일이 허다합니다. 이 때문에 백내장을 치료하는 시기가 늦어질 수 있는데, 백내장은 치료가 늦어질수록 백내장수술소요시간도 길어질 수 있으며 긍정적인 예후를 기대하기 어려워서 되도록 빠른 시일 내에 증상을 발견하고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백내장이란 수정체가 혼탁하게 변하면서 시야까지 혼탁한 상태가 되는 질환을 뜻합니다. 수정체는 항상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의 빛을 정확히 투과시키고 망막에도 선명한 상이 맺히도록 하는 눈의 조직인데, 여러 요인에 의해서 뿌연 상태가 되면서 시야까지도 온통 흐리고 뿌옇게 변하는 것이죠.
백내장이 생기면 시력 저하 외에도, 물체의 색을 구분하기 어렵다거나 눈부심이 심해 빛 번짐이 생기고, 사물이 이중으로 겹쳐 보이는 등 일반적인 시력 저하 증상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증상이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특히 안경을 착용해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노안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으며, 나중에는 근거리 시력이 갑작스럽게 좋아지기도 하는데 이런 증상은 말기 증상에 해당되므로 백내장수술소요시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지체 없이 내원하길 권하고 있습니다.
백내장의 원인은 크게 선천적인 이유와, 후천적인 이유로 나눌 수 있는데요. 많은 분들이 원인을 노화 한 가지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더욱이 발견이 늦어지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노화 뿐 아니라 가족력, 당뇨, 자외선, 안구 외상 등 다양한 원인이 있는 만큼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백내장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게 좋은데, 초기에 발견을 하면 약물을 통해서 증상의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기 때문에 예후가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다만 중기 이후에는 기존의 수정체를 제거한 자리에 새 인공수정체를 넣는 수술적 조치를 권하며, 이때는 마이크론 단위까지 측정이 가능한 카탈리스 레이저로 정확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카탈리스 레이저를 이용하면 통증이 적고, 백내장수술소요시간이 짧으며 회복력이 높아 주부나 직장인 등 시간적 여유가 많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적합한 개선이 가능합니다. 뿐만 아니라 각막 내피 세포의 손상이 줄어들어 각막 혼탁, 각막 부종 등의 후유증도 거의 발생하지 않으니까 안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죠. 다만 정밀 진단이 선행되어야 원활한 개선이 가능한 만큼 70가지 진단을 바탕으로 세부적인 체크부터 해보시길 바랄게요.